터미널 서비스를 이전부터 써온 사람들은 알고 있겠지만, 터미널 서비스는 두가지 사용자 모드를 제공한다. 첫번째는 터미널 서비스 용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용도로 사용되는 execute 모드이고 두번째는 어플리케이션 설치시에 적절한 레지스트리의 등록 작업등을 위한 install 모드이다. 두가지 모드가 존재한다는 것을 바꾸어 말하면 일반 유저 입장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자유롭지만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설치는 그렇지 않다는 말이다. 실제로 Setup.exe와 같은 파일을 execute 모드 터미널 서비스에서 실행해 보면 터미널 서비스가 설치를 막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터미널 서비스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삭제할 때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사용할 때는 execute 모드에서 install 모드로 터미널 서비스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특별히 스크립트등을 통한 설치 작업이 아니라면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해서 작업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 아래 스크린 샷은 터미널 서비스의 모드를 확인하고 모드를 변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change user /query : 현재 터미널 서비스 사용자 모드 쿼리
change user /execute : 터미널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로 변경
change user /install : 터미널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 인스톨 모드로 변경
- NoPD -
최근 덧글